관리 메뉴

알고리즘

진서 부여전 (원문) 본문

study/한국사

진서 부여전 (원문)

Schizo! 2009. 6. 27. 13:19














 

진서(晉書) 사이전(四夷傳) 가운데 부여(夫餘) 이야기

 

夫餘國                  부여(夫餘) 나라

 

夫餘國在玄菟北千餘里    부여(夫餘)는 현도(玄菟) 북쪽 천여 리

                        되는 곳에 있다.

南接鮮卑                남쪽은 선비(鮮卑)와 이웃하고

北有弱水                북쪽에는 약수(弱水)가 있다.

地方二千里              땅이 사방 이천 리다.

戶八萬                  집이 팔 만이고

有城邑宮室              (), 마을, 궁궐(宮室)이 있다.

地宜五穀                땅에는 다섯 곡식이 잘 자란다.

其人                사람들이 굳세고 용감하다.

會同揖讓之儀有似中國    만나고 절하고 양보하는 모습이 중원(中原)

                        비슷하다.

其出使                  사신이 다른 나라에 갈 때는

乃衣錦罽                비단과 털옷을 입고

以金銀飾腰              금과 은으로 허리띠를 꾸민다.

 

其法                    나라 법에

殺人者死                사람을 죽인 자는 죽이고

沒入其家                그 집안 사람들은 모두 잡아들인다.

盜者一責十二            물건을 훔치면 하나에 대해 열 두 배로 갚게 한다.

男女淫婦人妒皆殺之      음탕한 남녀와 강샘하는 계집은 모두 죽인다.

 

若有軍事                싸움이 일어나면

殺牛祭天                소를 죽여 하늘에 제사 지내고

以其蹄占吉凶            소 발굽으로 좋고 나쁨을 점친다.

蹄解者              발굽이 갈라져 있으면 좋은 일이 일어난다고 믿고

合者                붙어 있으면 나쁜 일이 일어난다고 믿는다.  

 

死者以生人殉葬          사람이 죽으면 산 사람을 같이 묻는 순장(殉葬)

                        한다.

有槨無棺                방무덤을 쓰지 관은 쓰지 않는다.

其居喪                  장례()를 치를 때는

男女皆衣純白            남녀 모두 흰옷을 입는다.

婦人著布面衣            여자들은 천을 뒤집어 써 얼굴을 가리고

去玉佩                  옥과 패물을 버린다.

出善馬及貂美珠        훌륭한 말, 담비(), 원숭이(), 고운 구슬이

                        난다.

珠大如酸棗              구슬 크기가 대추 만하다.

 

其國殷富                나라가 잘 산다.

自先世以來              옛 조상 때부터

未嘗被破                침략을 받거나 파괴된 적이 없다.

其王印文稱              임금 도장에는

穢王之印                <예왕지인(穢王之印)>이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

國中有古穢城            나라 안에 <옛 예성(穢城)>이라 부르는 성이 있다.

本穢貊之城也            처음에 예맥(穢貊) 사람이 살던 성이었다.

 

武帝時                  무제(武帝, 사마염(司馬炎))

頻來朝貢                자주 와서 조공(朝貢)하였다.

 

至太康六年              태강(太康) 육 년(285)

爲慕容所襲破          모용외(慕容)한테 공격을 받아 나라가  

                        무너졌다.

其王依慮自殺            임금 의려(依慮)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子弟走保沃沮            아들은 옥저(沃沮)로 달아나 목숨을 보존하였다.

帝爲下詔曰              무제(사마염)가 조서를 내려 가로되

夫餘王世守忠孝          "부여왕은 세세토록 충효를 지켰지만

爲惡虜所滅              나쁜 오랑캐에게 멸망 당했다.

甚愍念之                그 일이 무척 안타깝다.

若其遺類足以復國者      만약 살아남은 사람들 가운데 다시 나라를 일으킬

                        만한 자가 있다면

當爲之方計              내 그 자를 위하여 계책을 세우고 

使得存立                다시 나라를 세우게 하리라" 하였다.

 

有司奏護東夷校尉鮮于嬰  사주호(司奏護) 동이교위(東夷校尉)

                        선우영(鮮于嬰)

不救夫餘                제때 부여(夫餘)를 구해주지 않아

失於機略                계책 쓰기에 좋은 때를 놓쳤다.

詔免嬰                  선우영을 파면하고

以何龕代之              대신 하감(何龕)을 동이교위(東夷校尉)에 앉혔다.

 

明年                    이듬해

夫餘後王依羅遣詣龕      다음 부여왕 의라(依羅)가 하감에게 사신을

                        보냈다. 

求率見人還復舊國        백성을 이끌고 돌아가 옛 나라를 다시 세우려 하니

仍請援                  도와달라고 하였다.

龕上列                  하감이 모든 군사를 앞에 늘여 세웠다.

遣督郵賈沈以兵送之      독우(督郵) 가침(賈沈)에게 군사를 거느리고

                        의라(依羅)를 호송케 했다.

又要之於路            모용외가 또 길에 숨어서 의라(依羅)를 기다렸다.

沈與戰                  가침(賈沈)이 모용외와 싸워

大敗之                  모용외 군사를 크게 물리쳤다.

眾退                  모용외 군사가 물러났다.

羅得復國                의라(依羅)가 다시 나라를 세울 수 있었다.

 

爾後每爲掠其種人      이후에도 매번 모용외가 부여 사람들을 잡아

賣於中國                중원(中原)에 팔았다.

帝愍之                  무제(사마염)가 이를 불쌍히 여겼다.

又發詔以官物贖還        조서를 내려 관물(官物)로 몸값을 주고 부여

                        사람들을 제 나라로 돌려보냈다.

下司冀二州              (사마염이) 사주(司州)와 기주(冀州) 두 주()

                        조서를 내려

禁市夫餘之口            부여(夫餘) 사람들을 사고 팔지 못하게 했다.

<진서(晉書) 97 열전(列傳) 67 사이(四夷)>

 

[한자 풀이]

: [] 읍하다(인사 방법 가운데 하나), 사양하다, 모으다

: [] 묽기 그물, 융단, 양탄자

: [] 허리, 신장, 콩팥

: [] 강샘하다, 투기하다, 시새우다

: [] 담비

: [] 짐승 이름, 원숭이의 일종

酸棗 : [산조] 멧대추

: [] 자주, 빈번히, 급하다, 물가

: [] , 성벽, 산 이름, 사람 이름 

     [] , 성벽  [] 사람 이름

: [] 근심하다, 가여워하다, 불쌍히 여기다

: [] 아뢰다, 여쭈다, 상소

: [] 어린아이, 갓난아이

機略 : [기략] 기회에 접한 알맞은 계책

: [] 감실(신주를 모시는 곳), 절탑, 그릇

: [] 이르다

: [] 보다, 보이다  [] 보이다, 만나다

: [] ()하다, 그듭, 누차, 말미암다

上列 : [상렬] 1. 앞에서 열거한, 상기한  2. 고관  3. 윗자리, 상석

: [] 우편, 역참

: [] , 명성, 평판  [] 장사, 상인, 상품

: [] 중요하다, 모으다, 합치다, 기다리다, 잠복하다, 허리

: [] , 어조사, (), (), 가깝다

: [] 속죄하다, 속전(죄를 면하기 위해 바치는 돈)을 내다

: [] 바라다, 땅 이름

 

 

# 이 글을 퍼가시는 분은 출처를 밝혀 주십시오.

 

[참고 자료]

진서(晉書) 97 열전(列傳) 67 사이(四夷)

 

[참고 사이트]

엠파스

야후 재팬

위키피디아

구글

바이두(www.baidu.com)

'study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자성어  (0) 2010.04.28
한국사의 이해 기말고사 이석린교수님  (0) 2009.07.14
1659년 예송논쟁에 대한 고찰  (1) 2009.07.11
삼국지위서동이전  (0) 2009.06.27
Comments